일개 도둑만도 못한 내란범
https://www.youtube.com/live/-dZBzb0VkZo?si=AsMNcpKcbbeDx_fX&t=3552
춘추전국시대 유명한 도둑인 도척盜跖의 오덕五德을 도척지도盜跖之道라 한다.
도척은 동양 도적 세계의 역사에서 첫번째로 손꼽는 인물이며
공자孔子가 천하를 주유하며 인의仁義와 덕치德治를 주장하고 다닐 때
반대로 천하를 횡행하며 악명을 떨쳤던 도적이다.
그는 노魯나라의 대학자며 현자인 유하혜柳下惠의 친동생이었다.
‘도척盜跖’이란 뜻은 '도둑의 우두머리'란 뜻을 가진 단어인데
그의 본명이 아니며 본명은 전해지지 않는다.
도척은 9,000명이나 되는 졸개를 거느리고 다니며 국경을 넘나들며
남의 재산을 약탈하고 양민을 살해하며 부녀자를 겁탈했다.
그리고 그는 인육人肉을 좋아했으며 특히 사람의 간肝을 회를 쳐서 먹거나
염통으로 해장국을 끓여 먹는 것을 좋아하는 악당이었다.
하지만 그는 춘추시대에 존재하던 단순하고 포악한 도적두목이 아니다.
뛰어난 용력과 배포를 가졌고 도적답지 않게 학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달변가였다.
유하혜가 악에 물든 동생 때문에 고민했는데,
그의 친구 공자가 친구 유하혜를 위해 도척을 교화시키러 갔다가
되레 면박을 당하고 쫓겨난 경우도 있었다.
공자를 무력이 아닌 논리정연한 말로써 이긴 도척은 분명 대단한 사람이다.
그런 도척에게 어느 날 졸개가 질문을 했다.
"도둑에게도 도道가 있습니까?" (盜亦有道乎)
도척은 "어디엔들 도가 없겠느냐."(何適而無有道耶)라면서
도둑의 도에 대해서 설명했다.
도둑이 훔치러 들어갈 때 재물이 어디에 숨겨져 있는지 아는 것을
도둑의 성(夫妄意室中之藏, 聖也)이라 하고,
도둑질을 할지 말지 잘 판단하는 것을
도둑의 지(知可否, 知也)라 하며,
훔치러 들어갈 때 남보다 먼저 들어가는 것을
도둑의 용(入先, 勇也)이라 하며,
훔치고 나서 나올 때 뒤에 나오는 것을
도둑의 의(出後, 義也)라 한다.
훔친 재물을 공평하게 나누는 것을
도둑의 인(分均, 仁也)이라고 하는 것이다.
" 성, 지, 용, 의, 인(聖, 知, 勇, 義, 仁)은 도둑의 다섯 가지 덕목이며,
이 내용은 ‘장자莊子’ ‘거협편胠篋篇’에 실린 ‘도척의 도’이다.
[출처] 도척지도盜跖之道 -도척盜跖의 오덕五德|작성자 노틀맨